중요
• 양간: 순행 (자→축→인→묘→...→해)
• 음간: 역행 (해→술→유→신→...→자)
12운성 대조표
지지\천간지지 | 갑 | 을 | 병 | 정 | 무 | 기 | 경 | 신 | 임 | 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자(子) | 목욕 인성 | 병 인성 | 태 관성 | 절 관성 | 태 재성 | 절 재성 | 사 식상 | 장생 식상 | 제왕 비겁 | 건록 비겁 |
축(丑) | 관대 재성 | 쇠 재성 | 양 식상 | 묘 식상 | 양 비겁 | 묘 비겁 | 묘 인성 | 양 인성 | 쇠 관성 | 관대 관성 |
인(寅) | 건록 비겁 | 제왕 비겁 | 장생 인성 | 사 인성 | 장생 관성 | 사 관성 | 절 재성 | 태 재성 | 병 식상 | 목욕 식상 |
묘(卯) | 제왕 비겁 | 건록 비겁 | 목욕 인성 | 병 인성 | 목욕 관성 | 병 관성 | 태 재성 | 절 재성 | 사 식상 | 장생 식상 |
진(辰) | 쇠 재성 | 관대 재성 | 관대 식상 | 쇠 식상 | 관대 비겁 | 쇠 비겁 | 양 인성 | 묘 인성 | 묘 관성 | 양 관성 |
사(巳) | 병 식상 | 목욕 식상 | 건록 비겁 | 제왕 비겁 | 건록 인성 | 제왕 인성 | 장생 관성 | 사 관성 | 절 재성 | 태 재성 |
오(午) | 사 식상 | 장생 식상 | 제왕 비겁 | 건록 비겁 | 제왕 인성 | 건록 인성 | 목욕 관성 | 병 관성 | 태 재성 | 절 재성 |
미(未) | 묘 재성 | 양 재성 | 쇠 식상 | 관대 식상 | 쇠 비겁 | 관대 비겁 | 관대 인성 | 쇠 인성 | 양 관성 | 묘 관성 |
신(申) | 절 관성 | 태 관성 | 병 재성 | 목욕 재성 | 병 식상 | 목욕 식상 | 건록 비겁 | 제왕 비겁 | 장생 인성 | 사 인성 |
유(酉) | 태 관성 | 절 관성 | 사 재성 | 장생 재성 | 사 식상 | 장생 식상 | 제왕 비겁 | 건록 비겁 | 목욕 인성 | 병 인성 |
술(戌) | 양 재성 | 묘 재성 | 묘 식상 | 양 식상 | 묘 비겁 | 양 비겁 | 쇠 인성 | 관대 인성 | 관대 관성 | 쇠 관성 |
해(亥) | 장생 인성 | 사 인성 | 절 관성 | 태 관성 | 절 재성 | 태 재성 | 병 식상 | 목욕 식상 | 건록 비겁 | 제왕 비겁 |
각 칸 하단의 작은 글자는 지지의 정기(正氣)에 해당하는 십성(十星)을 나타냅니다
12운성 의미
장생(長生), 건록(建祿), 제왕(帝旺)은 12운성 중 가장 강한 에너지를 나타내요.
천간별 장생지(長生地)
천간 | 음양 | 오행 | 장생지 | 순환방향 |
---|---|---|---|---|
갑(甲) | 양(陽) | 목(木) | 해(亥) | 정방향 (子→丑→...) |
을(乙) | 음(陰) | 목(木) | 오(午) | 역방향 (巳→辰→...) |
병(丙) | 양(陽) | 화(火) | 인(寅) | 정방향 |
정(丁) | 음(陰) | 화(火) | 유(酉) | 역방향 |
무(戊) | 양(陽) | 토(土) | 인(寅) | 정방향 |
기(己) | 음(陰) | 토(土) | 유(酉) | 역방향 |
경(庚) | 양(陽) | 금(金) | 사(巳) | 정방향 |
신(辛) | 음(陰) | 금(金) | 자(子) | 역방향 |
임(壬) | 양(陽) | 수(水) | 신(申) | 정방향 |
계(癸) | 음(陰) | 수(水) | 묘(卯) | 역방향 |
십성 5분류
비겁(比劫)
나와 같은 오행
식상(食傷)
내가 생하는 오행
재성(財星)
내가 극하는 오행
관성(官星)
나를 극하는 오행
인성(印星)
나를 생하는 오행
12운성 진행 원리
양간 (甲, 丙, 戊, 庚, 壬) - 정방향 순환
• 갑목(甲): 해(장생) → 자(목욕) → 축(관대) → 인(건록) → 묘(제왕) → 진(쇠) → 사(병) → 오(사) → 미(묘) → 신(절) → 유(태) → 술(양)
• 병화(丙): 인(장생) → 묘(목욕) → 진(관대) → 사(건록) → 오(제왕) → 미(쇠) → 신(병) → 유(사) → 술(묘) → 해(절) → 자(태) → 축(양)
• 무토(戊): 인(장생) → 묘(목욕) → 진(관대) → 사(건록) → 오(제왕) → 미(쇠) → 신(병) → 유(사) → 술(묘) → 해(절) → 자(태) → 축(양)
• 경금(庚): 사(장생) → 오(목욕) → 미(관대) → 신(건록) → 유(제왕) → 술(쇠) → 해(병) → 자(사) → 축(묘) → 인(절) → 묘(태) → 진(양)
• 임수(壬): 신(장생) → 유(목욕) → 술(관대) → 해(건록) → 자(제왕) → 축(쇠) → 인(병) → 묘(사) → 진(묘) → 사(절) → 오(태) → 미(양)
음간 (乙, 丁, 己, 辛, 癸) - 역방향 순환
• 을목(乙): 오(장생) → 사(목욕) → 진(관대) → 묘(건록) → 인(제왕) → 축(쇠) → 자(병) → 해(사) → 술(묘) → 유(절) → 신(태) → 미(양)
• 정화(丁): 유(장생) → 신(목욕) → 미(관대) → 오(건록) → 사(제왕) → 진(쇠) → 묘(병) → 인(사) → 축(묘) → 자(절) → 해(태) → 술(양)
• 기토(己): 유(장생) → 신(목욕) → 미(관대) → 오(건록) → 사(제왕) → 진(쇠) → 묘(병) → 인(사) → 축(묘) → 자(절) → 해(태) → 술(양)
• 신금(辛): 자(장생) → 해(목욕) → 술(관대) → 유(건록) → 신(제왕) → 미(쇠) → 오(병) → 사(사) → 진(묘) → 묘(절) → 인(태) → 축(양)
• 계수(癸): 묘(장생) → 인(목욕) → 축(관대) → 자(건록) → 해(제왕) → 술(쇠) → 유(병) → 신(사) → 미(묘) → 오(절) → 사(태) → 진(양)
사용법
- 일간(나를 나타내는 천간)을 가로축에서 찾습니다.
- 확인하고자 하는 지지를 세로축에서 찾습니다.
- 교차점에서 해당 12운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예시
- 갑목일간 + 해수 → 장생 (양간이므로 해수에서 장생)
- 을목일간 + 오화 → 장생 (음간이므로 오화에서 장생)
- 병화일간 + 인목 → 장생 (양간이므로 인목에서 장생)
- 정화일간 + 유금 → 장생 (음간이므로 유금에서 장생)